침례는 구원의 필수적인 조건인가?
구원을 받는데 침례가 필수적이라는 믿음은 소위 “침례 중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는 침례가 그리스도인이 순종해야 하는 중요한 단계라고는 보지만 구원에 필수 조건이라는 주장에는 단호하게 반대합니다. 우리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각각 침수에 의한 침례를 받아야 한다고 강력히 믿습니다. 침례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장사와 부활에 신자가 함께 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로마서 6장 3-4절은 “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침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침례를 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냐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침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라”고 선언합니다. 물에 침수되는 행위는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장사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물에서 나오는 행위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묘사합니다.
구원을 위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 이외에 무엇이든 요구하는 것은 행위에 근거한 구원론입니다. 복음에 무엇인가를 더하는 것은 십자가에서의 예수님의 죽음이 우리의 구원을 위해 충분하지 못하다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침례가 구원을 받는데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의 죽음 외에 우리 자신의 선행과 순종을 더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수님의 죽음만이 우리의 죄값을 치렀습니다(롬 5:8, 고후 5:21). 우리의 죄에 대한 예수님의 속량은 믿음만으로 우리의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요 3:16; 행 16:31; 엡 2:8-9). 그러므로 침례는 구원 이후에 순종해야 하는 중요한 단계이지만 구원의 필수 요건이 될 수는 없습니다.
그렇습니다. 성경의 몇몇 구절들은 구원을 받으려면 침례를 받아야 하는 듯이 보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구원은 오직 믿음으로 얻는 것임을 분명히 말하기 때문에(요 3:16; 엡 2:8-9; 딛 3:5), 이 구절들에 대해서는 다른 해석이 있어야 합니다. 성경은 성경에 모순되지 않습니다. 성경 시대에는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개종한 사람은 종종 회심을 확인하기 위해 침례를 받았습니다. 침례는 그 사람의 결정을 공개하는 수단이었습니다. 침례 받기를 거부한다는 것은 진심으로 믿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였습니다. 따라서 사도들과 초기 제자들의 마음 속에는 침례 받지 않은 신자란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어떤 사람이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주장하면서 공개적으로 그의 믿음을 고백하는 것을 부끄러워한다면 그는 참 신앙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구원을 받기 위해 침례가 필요하다면, 왜 바울이 “나는 그리스보와 가이오 외에는 너희 중 아무에게도 내가 침례를 베풀지 아니한 것을 감사하노라”고 말하였겠습니까?(고전 1:14) 왜 바울이 “그리스도께서 나를 보내심은 침례를 베풀게 하려 하심이 아니요 오직 복음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로되 말의 지혜로 하지 아니함은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헛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고전 1:17)고 말해야 했습니까? 물론, 이 구절에서 바울은 고린도교회 안에 퍼져 있는 분열을 반대하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원을 위해 침례가 필요하다면 바울이 “침례를 베풀지 아니한 것을 감사하노라”랄지 또는 “그리스도께서 나를 보내심은 침례를 베풀게 하려 하심이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이 가능하였겠습니까? 만일 구원을 받는데 침례가 필요하다면, 바울은 문자적으로 “나는 너희가 구원을 받지 못한 것을 감사하노라” 그리고 “그리스도께서 나를 보내심은 너희의 구원을 위해서가 아니라”고 말한 것이 됩니다. 바울이 이러한 말을 했다면 전혀 믿기지 않는 우스꽝스러운 말이 될 것입니다. 더욱이 바울은 복음의 핵심을 구체적으로 언급할 때(고전 15:1-8), 침례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만일 침례가 구원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면, 복음을 제시할 때 어떻게 침례에 대한 언급이 빠질 수 있겠습니까?
침례는 구원에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침례는 죄가 아니라 악한 양심으로부터 구원합니다. 베드로는 베드로전서 3장 21절에서 침례는 육체적인 정결 의식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공약임을 분명히 가르쳤습니다. 침례는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 사람의 마음과 삶에 이미 발생한 사건들을 상징합니다(롬 6:3-5; 갈 3:27; 골 2:12). 침례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따라야 할 중요한 순종의 단계입니다. 하지만 구원을 위한 필수 조건이 될 수는 없습니다. 침례를 구원의 필수 조건으로 만든다면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충분성을 공격하는 것이 됩니다.
-Got Questions Ministries